언제 : 2014.05.15
어디 : 서생포왜성
울주군 서생면에 있는 서생포왜성을 둘러보고
진하해수욕장~ 대바위공원~ 솔개공원~ 송정공원~ 간절곶까지 걷는다.
송정공원을 지난 후 간절곶까지 걷는 길은 해안으로 연결되지 않고 차도를 따르므로 조금 불편한 길이다.
이 길은 해파랑길 4코스의 일부이기도 하다.
“서생포왜성은 임란이 일어난 다음해인 1593년 왜장이 지휘하여 쌓은 일본식 평산성이다.
--- 성곽의 전체면적이 호를 포함해 46,000평에 이르고---- 남해안 각지에 산재하는 왜성 중 가장 웅장하다.
--- 1594년부터 사명대사가 이곳에서 4차례나 평화교섭을 벌였으며, 명의 도움으로 1598년 성을 다시 빼앗았고
1년 후 왜적과 싸우다가 전사한 53명의 충신들을 배향하기 위해 창표당을 세웠으나 지금은 파괴되어 터만 남아있다.
서생포왜성은 임란 직후부터 1895년까지 약 300년 동안 조선 수군의 동첨절제사영으로 사용되었다.”
-서생포왜성 안내문에 의함-
동첨절제사는 조선시대 절도사의 관할에 딸린 진(鎭)의 장(將)으로 종4품.
서생포왜성 정상은 200m 쯤 올라가야한다. 왜성 가는 길 앞쪽에 "차량진입금지. 주차불가"라고 쓰여 있는데 차량 1대가 ---.
서생포왜성의 외성 바깥쪽 성벽.
내성 주출입구
성벽은 일부 허물어지고---.
곳곳에 위험 안내판이 붙어있다. (왜적이 쌓은 성이니 성벽을 보수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
산 정상부 천수대 터. 산성의 중심이 되는 공간으로 축성당시 천수각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한다.
오래된 벚나무들이 있다. 벚꽃이 필때는 성벽과 어울려 한경치 할 것같다.
성내는 미로처럼 만들어져 있고
공간이 숨겨져 있다.
장군수 터. 이 정상에 물이 솟아 나왔을까??
성 안을 이리저리 둘러보고 ---.
성에서 바라 본 진하해수욕장 방향. 명선도가 보인다.
출입문 부근의 작은 건물은 ??. 문은 잠겨있고 현판도 안내문도 없다.
주출입문으로 되돌아 나온다. 축성 당시에 누각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
*** 왜적이 지휘하여 쌓은 성이니 축성 당시 우리백성이 많이 동원되었을 것이다.
그 크고 많은 돌들을 이 산으로 옮기느라 어진 백성이 고생한 것을 생각하면
예나 지금이나 위정자들은 정신 차려야 한다.
'길따라 > 사적,유적. 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과정 (0) | 2014.07.11 |
---|---|
동래 문화유적지 탐방 (0) | 2014.07.02 |
삼광사 연등 (0) | 2014.05.04 |
방기리 알바위 (0) | 2014.04.28 |
경주 교동 최씨고택 (0) | 2013.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