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 : 2023.02.26

어디 : 해동용궁사. 시랑대

 

해동용궁사와 시랑대를 보러갔지만 용궁사에서는 관람객에 떠밀려 다닌 셈이고,

시랑대는 문이 잠겨 못보고 되돌아 나온다.

갈맷길 따라 공수마을 해변을 돌아 오시리아역까지 걷는다.

 

 

↑ 해동용궁사 입구. 

조일방정토 결만중선연 : 한 곳에 정토를 만들어 중생에게 좋은 인연을 맺어준다는 뜻이라고 함.

  내려갈 때 대웅보전 쪽으로 가는 오른쪽 길을 따르고,  올라올 때 백팔장수계단으로 올라오기 함. 

 

↑ 바다도 좋다하고 청산도 좋다거늘 바다와 청산이 한 곳에 뫼단말가 하물며 청풍명월 있으니 여기곳 선경인가 하노라  --- 춘원이광수

 

  대웅보전.

 

↑ 용문석교 위 관람객이 많고 많다(多).  관광사찰? 휴일이기도 하지만...

 

↑ 진신사리탑.

 

↑ 포대화상. 사진을 찍으려면 줄을 서야 한다.  왼쪽 위 해수관음대불.

 

↑ '해동용궁사 전통사찰 등록'  언제 ??   

 

↑ 용궁사 이름답게 용과 여의주.

 

↑ 해동 용궁사 앞 바다와 바다에서 건져올렸다는 용암.

 

↑ 삼청지와 16나한.

 

↑ 바다 좋고,  파도소리 좋다!

 

↑ 용암 뒤로 방생하는 곳. 제룡단. 

 

↑  용궁사 전경. 용문석교 위에는 관람객이 밀려다닌다.   

 

↑ 제룡단의 지장보살.

 

 

↑ 당겨 본 시랑대 방향. 담장에 막혀 바로 갈 수 없다. 절 뒤쪽으로 돌아가야 하는데---.  

 

↑ 소원지.

 

↑ 쌍향수불 좌우에 음향수, 양향수.

 

↑ 학업성취불.

 

↑ 용문석굴. 관람객들의 긴 줄은 

 

↑ 교통안전기원탑 앞으로 수십m까지 이어지고 있다.

 

↑ 시랑대로 가는 길. 길 끝 쯤 시랑대 안내문이 보인다.

 

↑ 기장7경 시랑대.   문이 잠겨있다.  출입금지 안내판이나 안내문도 없이 자물쇄로 잠궈놓았다. ㅠㅠ   

시랑대 안내문을 읽어보면,

'조선 영조 때 기장현감 권적이 이곳에 놀러와 바위에 ‘시랑대’라고 새겼다. ------.

시랑대는 기우제와 풍어제를 빌던 제룡단과 해룡의 발자취가 남아있다.'

 

↑ 시랑대 내려가는 계단을 내려다 보고 발길을 돌린다. 

 

↑ 되돌아 나와서 갈맷길 따라 송정해수욕장 방향으로 ---.

 

↑ 공수마을 앞 해변 너머 죽도공원, 그 너머 해운대 고층 건물들이 우뚝하다.

 

↑ 공수마을 해수욕장?  

 

'길따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기대 백련사  (0) 2023.03.11
해운대 동백섬  (0) 2023.03.01
정과정유적지. 수영강.  (0) 2023.02.23
온천천 결빙  (0) 2023.01.26
부산시민공원 나들이  (0) 2023.01.26

언제 : 2023.02.22

어디 : 정과정유적지. 수영강변.

 

부산원동역~ 수영강변로~ 정과정유적지~ 수영강변로~ 민락역.

수영강변 산책로 따라 걷다가 정과정 유적지를 둘러보고

다시 수영강변으로 나와서 강 따라 걷는다.

이 길은 갈맷길 8코스의 일부이기도 하다.

 

정과정 유적지는 고려시대 문신 정서가 유배생활을 할 때

임금을 그리워하는 고려가요인 정과정곡(鄭瓜亭曲)을 지은 곳이다.

 

정과정곡 원문은 아래 ‘정과정’ 비,

    정과정 유적지는 아래 ‘정과정 유적지 중건 기념비’ 및 ‘과정 유허지 복원에 부쳐‘ 참고.

 

↑ 금련산, 황령산, 배산. 오른쪽 배산은 술잔을 엎어 놓은 모습이라하여 잔뫼산이라 부르기도 ...

 

↑ 수영강변 갈맷길.

 

↑ 과정교.

↑ 과정교를 지나면서 본 수영강. 강물이 흐리다.

 

↑ 정과정 유적지 안내판. 

 

 

↑ 정과정.

 

↑ 경암.

 

↑ 보호수 팽나무. 수령 400년.

 

↑ 정과정 왼쪽에는 정과정 비. 오른쪽에는 정과정 중건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내 님믈 그리사와 우니다니

山(산) 졉동새 난 이슷하요이다.

아니시며 거츠르신들 아으

殘月曉星(잔월효성)이 아르시리이다.

넉시라도 님은 한데 녀져라 아으

벼기더시니 뉘러시니잇가.

過(과)도 허믈도 千萬(천만) 업소이다.

말힛마리신뎌

슬읏븐뎌 아으

니미 나를 하마 니즈시니잇가.

아소 님하 드람 드르샤 괴오소셔.

-- 악학궤범에서 --

☞원문은 고어체로 되어있어 옮기기가 어려워 퍼옴.

 

‘흐르는 세월은 무상하다고 했던가’ 여기는 고려 의종 때 과정 정서가 정배되어 노닐던 역사적인 고장이다.

그러나 현대인의 개발의욕은 이곳의 옛 모습을 모두 바꾸어 놓았다. 과정도 없어지고 오이밭도 간데없다.

당신이 건너던 오옹건내도 과정천도 사라졌다. -------

 

장하다! 그래도 우리 선현의 유허지를 후손들이 이렇게 보존하기 위하여 아담한 동산으로 공원을 만든 것은 문화민족의 긍지를 만대에 자랑하기 위함이다. 문화민족의 후손들이여! 우리는 이제 다시는 선현들이 남긴

유적이 훼손되는 불행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만년을 내다보는 역사관을 가지고 살아가자.  - 토향회-

 

과정 유허지 복원에 부쳐.

과정이 어디인고 공장이 들어서고

오옹건내 오이밭은 벡스코로 변했구나

과정천 고운 물줄기 언제 볼꼬 애달프다.

 

거칠 땅 동래골이 옛 모습 잃어가니

두견새 피눈물이 정공의 넋두린가

이 밤도 잔월효성이 경암 위에 슬프다.

 

배산은 술잔 되어 그대로 엄연한데

망미하던 임의 양자 어느 곳에 숨었는가

개성 땅 바라던 망산 아파트촌 어떨꼬.

 

↑ 정과정은 사방이 도로와 아파트로 막혀있다. 북쪽으로 나뭇가지 사이로 금정산 장군봉이 조금 보인다.

 

↑ 뒷 쪽에서 본 정과정.

 

↑ 도로 건너편에서 올려다 본 정과정.

 

↑ 수영강 너머 멀리 장산.

 

 

↑ 좌수영교.

 

 

↑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빛/ 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김소월-

 

↑ 정과정곡

 

↑ 참새 열입곱마리. 

 

↑ 순환- 에너지.

 

↑ 수영강변을 걷다.

 

↑ 건너편 영화의 전당.

 

↑ 다이야몬드를 찾아라.

 

↑ 가라 앉을 수 없는 Unsinkable.

 

↑ Teenage Fan Club (Giant).

 

 

  수영교 위의 돌고래를 당겨 본다.

 

'길따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운대 동백섬  (0) 2023.03.01
해동용궁사, 시랑대  (0) 2023.02.27
온천천 결빙  (0) 2023.01.26
부산시민공원 나들이  (0) 2023.01.26
온천천  (0) 2022.12.16

언제 : 2023.2.19

어디 : 부산진성공원

 

부산진성공원을 한 바퀴 둘러보고 영가대와 조선통신사역사관을 관람한다.

☞ 부산진성공원은 이전에 자성대공원이라 부르던 곳이다.

☞ 영가대는 조선통신사가 일본으로 출발하기 전에 환송행사와 해신에게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부산진공원 옆에 위치하며 이웃에 조선통신사역사관이 있다.

    조선통신사는 임진왜란 이후 1607~ 1811년까지 일본에 12차례 파견되었던 외교사절이다. 

 

↑ 부산진성 서문인 금루관. 성문 왼쪽에 서문쇄약(서문은 나라의 자물쇄와 같다).  오른쪽에 남요인후(이곳은 나라의 목에 해당하는 남쪽 국경이다) 우주석이 세워져 있다. (우주석= 집이나 성의 경계에 세운 돌기둥.)

 

↑ 부산진정 안내도.

 

↑ 성 안에서 본 금루관. 금루관 위로 올라갈 수 없게 문이 잠겨있다.

 

↑ 자성대공원 새이름 부산진성공원.  2023.01.04. 제7회 국가지명위원회 최종 확정. 

 

↑ 동문 진동문. 

 

↑ 성 안에서 본 진동문. 전에는 건춘문이라 불리기도 ---.

 

↑ 공원 안 산책로.  최영장군 비각 앞.

 

↑ 최영장군 비각.  '황금 보기를 돌같이 하라.'

 

↑ 비각 안을 들여다 보면... 위민공 최영장군 비. 오른쪽에 국태민안. 

 

↑ 공원 안에는 임란 때의 흔적. 왜성이 남아있다.

 

↑ "부산진성 성벽 보수공사. 배부름 및 이완된 부산진성 성벽 해체보수." 

이참에 왜성을 헐고 본래의 부산진성을 복원하면 어떨까??

 

↑ 전에는 '진남루' 불리기도 했던.... 지금은 승가정.  역시 이층은 문이 닫혀있어 올라갈 수가 없다. 

 

↑ 천장군 기념비.

안내문에 의하면 명나라 장수 천만리는 임란 때 공을 세우고,,, 귀화하여 조정에서는 충장공의 시호를 내렸다.

 

↑ 승가정. 부산진성의 장대--- . 승가정 현판은 아래 사진과 같이 바깥 쪽에 걸려있다. 

 

 

↑ 승가정 안내문이 복잡하여 사진으로 담았다.

 

↑ 영가대.

 

↑ 때 마침 학생들의 현장수업인 듯.

 

↑ 1748년 영가대의 그림.  당시에는 이 곳 앞까지 바다인 듯---.

 

↑ 조선통신사 역사관 입구. 마상재

 

↑ 조선통신사 여정. 한양에서 도쿄까지 6개월~ 1년에 걸쳐 왕복 4,500km를 이동하였다고 함.

*** 조선통신사 기록물은 2017년 10월 31일 유네스코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됨.

 

↑ 북문. 

 

언제 : 2023.02.12

어디 : 의상대능선~ 엄지바위

 

상마마을 누리길~ 의상대~ 원효암~ 엄지바위~ 미륵불~ 만성암~

금정산 둘레길~ 범어사역.

흐린 날씨라 조망은 별로이다.

바위 구경하며 이리저리 다니다가 내려온다.

 

 

↑ 상마마을 입구. "범어사 성보박물관., 범어사 소장 삼국유사 유네스코 등재 확정"  상마누리길 끝지점에서 우회전하여,

 

↑ 이 바위를 지나 오른쪽 샛길따라 의상대능선으로 ---.

 

↑ 바위 틈새에서 자라던 분재형 소나무는 명을 다했고,  오른쪽 바위 위의 저 소나무는 언제까지 살까?

 

↑ 바위 전망대에 오르면,

 

↑ 남산봉 너머 멀리 장산.

 

↑ 바위 전망대는 소나무에 가린다.

 

↑ 정면으로 계명봉과 계명암. 왼쪽의 청련암을 당겨보면

 

↑ 청련암 지장원의 불상들이 보인다.

 

↑ 이곳은 수행도량---.

 

 

 

↑ 기암.

 

↑ '의상대' 자세히 보면 낙관이 새겨져 있는데 언제 누구의 솜씨인지?? 멀리 해운대 장산과 마린시티가 희미하다. 

 

↑ 당겨 본 엄지바위. 멀리  금정산성 3망루 지붕이 보인다.

 

↑  멀리 고당봉을 당겨보니 정상엔 산객들의 모습이 가물가물.

 

↑ 원효암.

 

↑ 원효암 서편 3층석탑. 신라말~고려초의 작품이라고 함.

 

 

 

 바위 틈새의 소나무가 생사를 달리했다. 

 

여기도 마찬가지. 각자도생이다.

 

↑  건너편, 기차바위 또는 용바위라 불리기도....

 

정면으로 회동수원지 너머 아홉산, 오른쪽 장산.

 

 

 

  엄지바위 건너편 계명봉.

 

미륵불 석문. 

 

  용머리 바위 위쪽에 엄지바위.

 

  당겨 본 엄지바위.

 

여의주를 물고 있는 용머리 바위.

 

  석문, 용머리 바위, 당래교주 미륵존불.

 

  기도처 바위. 

 

 

 

↑ 계곡 따라 내려오면서 본 기암.

 

 

 

'금정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정산 상계봉  (0) 2023.02.06
금정산 고당봉  (0) 2023.01.13
금정산 용담선원 단풍  (0) 2022.11.19
금정산 케이블카 전망대 단풍  (0) 2022.11.16
금정산 원효암 단풍  (0) 2022.11.07

언제 : 2023.02.05

어디 : 금정산 상계봉

 

만덕역~ 상학초교~ 상계봉 중앙능선~ 신선바위~ 상계봉~ 베틀굴~ 안부~ 만덕역.

상계봉(640.2m)은 금정산 최고봉인 고당봉(801.5m)에서

남쪽으로 약 5.7km 거리에 위치하는 암봉이다.

부산앞바다와 낙동강을 굽어보는 조망이 좋고, 닭벼슬바위 등 기암들을 둘러보는 재미도 있다.

상계봉 서쪽 사면에 있는 베틀굴을 지나 내려온다.

 

 

↑ 들머리에서 당겨 본 상계봉. 왼쪽으로 보이는 바위를 지나 정상으로 ---.

 

  지구 온난화 탓인지? 가뭄 탓인지?  능선의 소나무들이 죽어가고 있다.

 

↑ 왼쪽 바위 위에 산객 2.

 

↑ 신선바위에서---.

 

↑ 장산~ 금련산~ 황령산~ 봉래산까지.

 

↑ 주지봉 오른쪽으로 낙동강.

 

↑ 명품 소나무.

 

 

↑ 나무가지 사이로 주지봉.

 

↑ 가운대쯤 신선바위.

 

 

↑ 유장한 낙동강이 굽이 돌아 남해로 흘러간다.

 

↑만덕동이 한 눈에 보이고, 왼쪽 금정봉 너머 멀리 태종대와 봉래산.

 

↑ 멀리 달음산. 그 너머 동해바다가 어림된다.

 

↑ 기암.

 

↑ 가운데 쯤 고당봉.

 

 

↑ 불꽃바위, 왕관바위, 닭벼슬바위 등으로 불리기도 ---.

 

↑ 바위를 타고 넘는 재미---.

 

 

 

 

 

 

↑ 나무 가지가 거슬리기도 하지만 잎이 떨어지니 바위가 모습을 들어낸다.

 

↑ 조성하다 중지된 불상.

 

↑ 베틀굴 주변의 최고 명품 바위.

 

↑ 건너 편 화산능선.

 

 

 

 

 

 

'금정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정산 의상대능선~ 엄지바위  (0) 2023.02.13
금정산 고당봉  (0) 2023.01.13
금정산 용담선원 단풍  (0) 2022.11.19
금정산 케이블카 전망대 단풍  (0) 2022.11.16
금정산 원효암 단풍  (0) 2022.11.07

언제 : 2023.02.01

어디 : 배산숲길

 

배산역~ 영주암~ 배산숲길~ 멍에정~ 바람고개~ 연산배수지~ 배산역

배산은 술잔(盃)을 엎어 놓은 모양이라고 하여 잔뫼산(盃山: 256m)이라고도 하는데,

둘레길(= 배산숲길)이 잘 조성되어 있다.

배산숲길 따라 걷는 산책객들이 많다.

걸어서 남 주나.

 

 

↑ 영주암 입구. 영주암 대웅전 오른쪽으로 ---,

 

↑  원통보전 왼쪽으로 나있는 길을 따라 산으로 간다

.

↑ 기도처를 지나고,

 

↑ 시의 거리를 지난다.  별헤는 밤(윤동주).  계절이 지나가는 하늘에는 가을로 가득차 있습니다/ ---------별 하나에 추억과  별 하나에 사랑과 ----

 

↑ 둘레길의 멋진 나무 한 그루.

 

↑ 이름없는 정자. 배산에는 망해정, 잔뫼정, 멍에정 등 이름표가 붙은 정자들이 있는데 ---.

 

↑ 편백나무숲.

 

↑ 동백꽃은 꽃봉오리만 맺혀있다.

 

 

↑ 조림숲.

 

↑ 향수(정지용).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즐대는 실개천이 휘돌아 나가고/ 얼룩백이 황소가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리야.  ----------------

 

↑ 멍에정.

 

↑ 금련산~ 황령산~ 행경산.

 

↑ 멍에정~ 바람고개로 이어지는 길에는 데크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 바람고개 정자.

 

↑ 바람고개 체육공원.

 

↑ 바람고개를 지나 연산배수지~ 배산역으로 ---.

 

↑ 이 배산숲길(배산임도)지도는 동서남북 방향이 다르게 표시되어 있다. 

 

'부산 근교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산 진달래  (0) 2023.03.18
백산 첨이대, 옥련선원.  (0) 2023.03.04
황령산  (0) 2022.09.30
해운대 장산  (2) 2022.09.21
운수사 꽃무릇  (0) 2022.09.18

언제 : 2023.01.25

어디 : 온천천 

 

지난 밤 온도 영하 12도.

온천천이 얼었다.

간만에 보는 온천천 결빙 풍경이다.

 

↑ 온천천에 얼음이 깡깡 얼었다.

 

 

↑ 징검다리 윗쪽은 얼고 아랫쪽은 물이 흐른다.

 

↑ 부전교회 너머 멀리 금정산.

 

↑ 가운데 쯤 세병교.

 

↑ 유채밭.

 

↑ 갈대는 바람에 흔들리고...,

 

 

↑ 세병교.

 

↑ 어릴 때 얼음 위에서 놀던 추억이---.

 

↑ 온천천의 새. 지구온난화로 인해 여름철새인 왜가리, 쇠백로, 중대백로는 2006 이후 온천천에서 텃새화되어 가고 있다.

 

'길따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동용궁사, 시랑대  (0) 2023.02.27
정과정유적지. 수영강.  (0) 2023.02.23
부산시민공원 나들이  (0) 2023.01.26
온천천  (0) 2022.12.16
충렬사~ 망월산 단풍  (0) 2022.12.03

언제 : 2023.01.24

어디 : 부산시민공원 

 

         설 이틑날 자투리 시간, 잠시 짬을 내어 시민공원을 둘러본다.

         (폰으로 찍은 사진)

 

↑ 부산시민공원 남문.

 

↑ 시민마루.

 

 

↑ 배롱나무 꿈꽃빛터널.

 

↑ 거울연못.  빛축제 기간중이지만 낮시간이라 ---.

 

↑ 희망부산 100년, 타임캡슐공원.

 

↑ 공원 역사관.

 

↑ 비로자나반가석불, 협시불.

 

↑ 기억의 기둥.

 

↑ 초소.

 

 

↑ 2030world expo. 부산이 소망하고 우리가 함께 이뤄갑니다.

 

↑ 잔디광장. 여유롭다.

 

↑ 어린이 놀이터. 예전에는 팽이치기하고 놀았는데---.

 

 

↑ 물레방아가 돌아가면 좋으련만---.

 

↑ 잉어가 있고 오리도 있고---.

 

 

 

↑ 기억의 숲.

 

 

↑ ♡

'길따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과정유적지. 수영강.  (0) 2023.02.23
온천천 결빙  (0) 2023.01.26
온천천  (0) 2022.12.16
충렬사~ 망월산 단풍  (0) 2022.12.03
금강공원 단풍 나들이  (0) 2022.12.02

언제 : 2023.01.12

어디 : 금정산 고당봉

 

범어사~ 금정산성 북문~ 고당봉~ 사배고개(영풍정)~ 청련암~

범어사 문화체험누리길~ 범어사역.

 

고당봉에 오르는 산객들이 많다.

등산은 독서와 같다고 한다.

등산은 보약과 같다고 한다.

사람(人)이 산(山)과 함께하면 신선 선(仙)이다.

오르고 또 오르면 신선이 되려나.

 

 

↑ 잎은 다 떨어지고 나무 가지만 남아 겨울을 지내고 있다.

 

↑ 범어사 불이문(不二門).   神光不昧萬古徽猷(신광불매만고휘유) 入此門來莫存知解(입차문래막존지해).

   ‘신령한 빛 어둡지 않아 만고에 빛나니, 이 문에 들어오면 알음알이를 두지 말라’ 라는 뜻이라고 함. 

 

 

↑ 보제루  '범어사 소장 "삼국유사" 유네스코 등재 확정' 펼침막이 걸려있다. 

 

↑ 금정산성 북문.

 

↑ 북문에서 본 고당봉과 금샘(우).

 

↑ 고당샘에서 올려다 본 고당봉 전망대.

 

↑ 기암.

 

↑ 오른쪽 회동수원지.

 

↑ 고당송.

 

↑ 고당봉전망대에서 본 금정산 주능선 너머 장산과 금련산.

 

↑ 금정산 산신각. 고모영신당.

 

↑ 고당봉 바위들.

 

 

↑  금정산 고당봉 정상석 801.5m.

 

↑ 정상석 뒷면.  - 노산 이은상 -

 "돌우물 금빛 고기 옛 전설 따라/ 금정산 산머리로 올라왔더니/ 눈앞이 아득하다 태평양 물결/  큰 포부 가슴속에 꿈틀거린다."

 

멀리 영축산과 천성산(우).

 

  낙동강 왼쪽으로 멀리 무척산, 오른쪽 오봉산 너머 토곡산.

 

고모영신당, 오른쪽 중간 쯤 금정산성 북문.

 

  금정산 주능선 너머 멀리 장산.                                ↑ 오른쪽 멀리 낙동강이 희미하다.

 

↑ 기암.

 

↑ 언제나 즐거운 듯 ---.

 

↑  기암.

 

 

 

↑ 고당봉 뒤 사거리에서 본 고당봉.

 

↑  계곡엔 얼음이 한창인데도,

 

↑ 벌써 봄소식이 들려오는 듯, 새 잎이 자라고 있다.

 

↑ 사배고개 영풍정.

 

↑  청련암 대불.

 

↑  범어사 문화체험누리길, 명상의 쉼터.

 

 

↑ 2022년 보행 기록. 1~3월은 착오로 만보계 기록 삭제됨

 

'금정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정산 의상대능선~ 엄지바위  (0) 2023.02.13
금정산 상계봉  (0) 2023.02.06
금정산 용담선원 단풍  (0) 2022.11.19
금정산 케이블카 전망대 단풍  (0) 2022.11.16
금정산 원효암 단풍  (0) 2022.11.07

언제 : 2022.12.15

어디 : 온천천

 

동해선 부산원동역~ 수영강·온천천 합수지점~ 온천천시민공원~ 세병교~ 교대역.

어제 밤 기온이 영하 4도 아래로 내려갔다.

온천천은 얼었을까? 궁금하여 나갔지만 얼음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

제법 쌀쌀한 날씨인데도 산책객들이 많다.

덩달아 걷는다. 걸어서 남 주나?

 

↑ 수영강 원동교 위에 부산원동역.

 

  수영강변 쉼터.

 

  이 길은 갈맷길의 일부이기도 하다. 잘 정비 되어있다. 

 

  수영강과 온천천의 합수지점.

 

  왠 영어? 한글은? 우회전하여 온천천으로 ---

 

  온천천 너머 배산.

 

  관심일까??

 

↑ 온천천 산책로도 잘 정비되어 있다.

 

↑ 억새꽃이 포근한 느낌.

 

↑ 흔들리는 갈대. 

 

↑ 장산.

 

  동백꽃이 피어있고, 벚나무 가지는 앙상.

 

↑ 온천천 카페거리.

 

↑ 살기 좋은 동래.                                                                               사랑의 동래온천.

 

  유채밭.

 

바람에 흔들리는 저 잎은 언제까지 버틸까?

 

↑ 왜가리?

 

↑ 얼쑤(동래).

 

↑ 동해선철교, 구철교, 세병교.

 

↑ 정면으로 금정산.

 

↑ 수양버들잎은 여전히 푸르다.

 

 

 

'길따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천천 결빙  (0) 2023.01.26
부산시민공원 나들이  (0) 2023.01.26
충렬사~ 망월산 단풍  (0) 2022.12.03
금강공원 단풍 나들이  (0) 2022.12.02
수영사적공원  (0) 2022.11.2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