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 : 2014.08.04

어디 : 파래소폭포~ 배내골

 

 

          “15m 높이에서 떨어지는 폭포수와 이로 인한 하얀 물보라와 산 그림자는

         보는 이의 탄성을 자아내며 배내골 깊은 계곡과 원시림이 어우러진 절경이다.

         소의 둘레가 100m나 되며 소의 중심지에는 명주실 한 타래를 풀어도 바닥이 닿지 않는다는 전설이 있다”

        -파래소폭포 안내문에 의함.

 

 

          배내골은 이천리(梨川里)의 우리 말이다. 배나무가 자라는 개울이 있는 마을.

         옛날에는 배나무가 많았는지 모르지만 지금은 팬션이 많다.

         피서지로 알려져 있으며 팬션, 민박 등 업소가 백수십개 쯤 된다고 한다.

         배내골 물이 흘러드는 밀양댐은 식수로 사용되는데 그 물은 깨끗할까?

 

 

 

파래소 폭포 물이 넘친다.

 

 

 

 

파래소폭포는 신불산 자연휴양림 안쪽에 있어 입장료 1,000원을 내고 들어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세상에 이런 일이---'

 

 

 

공 들여 쌍은 돌탑,  무너지지 않을 듯하다.

 

 

 

청산녹수

 

 

 

비 온 뒤라 물이 많다.

 

 

 

푸른 나무 작은 폭포 아래에 몸을 담그면 세상만사 다 잊을 듯---.

 

 

 

파래소 폭포는 울산 12경의 하나.

 

 

 

폭포 가는 길은 다리를 건너 계단으로 올랐다가

 

 

 

내려서면 폭포가 모습을 들어낸다.

 

 

 

시원하고,

 

 

 

시원하고,

 

 

 

또 시원하다.

 

 

 

파래소는 신불산 자연휴양림 상단과 하단의 중간지점에 있다. 이 곳에서 휴양림 상단과 하단은 각각 1.3km 거리이다.

 

 

 

 

파래소를 찾은 피서객들 '대박이다'

 

 

 

계곡에 걸린 다리도 한 경치하고

 

 

 

바위 사이로 흘러나오는 물도 시원하게 보인다.

 

 

 

맑은 물이 흘러  

 

 

 

작은 폭포를 이루니

 

 

 

시원하다.  이것이 피서이다.

 

 

 

배내골 본류.  계곡 옆 자귀나무 꽃이 곱다.

 

 

 

피서객들은 물놀이 삼매경. 건너편 도로는 주차장으로 변하고,

 

 

승용차 한 대가 조심조심 ---.

 

 

 

이천교.  예전에 버스도 이 다리를 지나 다녔지.  

 

 

 

폐교된 이천분교장은 야영장으로 ---,

 

 

 

요즈음은 팬션도 개성시대.

 

 

 

물에서 물 구경??

 

 

 

물가엔 피서객들이 진을 치고 ---.

 

 

 

 

 

 

 

'길따라 > 공원, 거리 등'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저생태공원  (0) 2014.08.18
배내골 철구소  (0) 2014.08.08
부산진 배롱나무  (0) 2014.07.31
영도대교  (0) 2014.07.26
삼락생태공원  (0) 2014.07.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