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 : 2019.02.02

어디 : 금정산 금샘

 

          범어사~ 사배고개~ 금샘~ 고당샘~ 북문~ 범어사~ 문화체험누리길~ 범어사역.

        그저께 내린 눈이 얼어 고당봉에서 금샘으로 가는 길은 미끄럽다.

        금샘에는 황금색 물고기는 없고 하얀 눈이 소복하게 담겨 있다.

 

 

금정산 고당봉. 눈꽃은 다 떨어지고 바닥에 눈이 쌓여있다.  

 

 

 

 

 

기암.

 

 

금샘 앞 안내문에도 눈이 덮혀있다.

 

 

" --- 금정산의 유래는 1432년 편찬한 세종실록지리와 1481년 편찬한 동국여지승람에 다음과 같이 기록되어 있다.

금정산 서북산정에 바위가 있는데 샘은 둘레가 10자(3m), 깊이는 7치(21cm)쯤 된다.

물이 항상 넘쳐 가물어도 마르지 않으며 빛깔은 황금과 유사하다. 옛날 황금색 물고기 한 마리가 오색구름을 타고 범천으로 내려와 그 곳에서 헤엄치며 놀았으므로 금샘이라 불렀고 범어사의 창건설화가 시작된 곳이다".

"가뭄이 들면 기우제를 지내던 곳이었고 황금색 물고기가 노닐던 금샘은 생명의 원천, 창조의 모태인 다산을 기원하는 성소였다."

 

 

금샘. 정면으로 원효봉으로 이어지는 금정산성.

 

 

 

 

 

왼쪽 천성산에서 오른쪽 달음산까지. 가운데 쯤 멀리 대운산, 앞쪽은 계명봉.

 

 

정면으로 망미봉 상계봉 파리봉이 펼쳐진다.

 

 

고당봉을 당겨보고

 

 

기암도 당겨본다.

 

 

바닥에는 제법 많은 눈이 쌓여있다.

 

 

고당샘.  금샘에서 바로 내려가는 길이 뚫리지 않아 고당샘으로 되돌아 나온다.

 

 

 

 

 

금정산성 북문에서 원효봉으로 가는 산객들.

 

 

 

 

 

금정산성 북문.

 

 

꽃무릇 잎은 눈속에 묻혀있다.

 

 

 

 

 

범어사 지붕 위에 눈이 조금 남아있다.

 

 

범어사 대웅전(보물 434호)과 삼층석탑(보물250호).

 

 

 

 

 

범어사 홍매화.

 

 

 

 

 

범어사 문화체험 누리길을 따라 내려온다.

 

 

누리길은 범어사~ 청룡2호교까지 2.26km.

 

'금정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정산 아기자기능선  (0) 2019.02.18
금정산 석불사능선   (0) 2019.02.11
금정산 상계봉   (0) 2019.01.28
금정산 케이블카능선   (0) 2019.01.25
금정산 고당봉  (0) 2019.01.02

+ Recent posts